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UI Programming
- 파인만
- jessie
- Cross-platform
- Waveshare
- 카카오맵
- CyanogenMod
- C++
- micro usb
- 라즈베리파이
- 리눅스
- 크롬
- 이 FTP 사이트는 Windows 탐색기에서 볼 수 없습니다
- nook HD
- 리차드 도킨스
- 뉴스포티지
- nook HD+
- Raspberry Pi
- 반스앤노블
- 카카오맵GPX
- nook
- 30pin
- 이기적인 유전자
- ubuntu
- TFT Touch
- wxWidgets
- 연료필터 카트리지
- 우분투
- 양자역학
- 우주론
- Today
- Total
언덕에 누워 생각하기
Raspbian Jessie 에서 DHCP 유동 IP 고정 본문
정확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제목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face eth0 inet manual and iface eth0 inet static?
답 :
iface eth0 inet static
: Defines a static IP address for eth0
iface eth0 inet manual
:To create a network interface without an IP address at all. Usually used by interfaces that are bridge or aggregation members, or have a VLAN device configured on them
For more information read:
링크된 데비안 위키에 가보니...
https://wiki.debian.org/NetworkConfiguration#Using_DHCP_to_automatically_configure_the_interface
아래 내용을 지우지 않았었는데, 잘못된 것 같네요.
allow-hotplug eth0
이렇게 하랍니다... 그러면, 다른 블로그에 있는 내용과 다를게 없는데, 왜 네트웤이 먹통이었던걸까요? 집에 가서 다시 해봐야겠네요.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0.2.7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0.2.254
다른 곳에 있는 내용으로는 Wheezy까지만 되는지(라즈베리를 이제야 접해서 저는 Jessie를 깔았어요)
설명대로 하면 네트워크가 먹통되는 일이 발생하네요. 그래서 시행착오 방법으로 알아 낸 내용입니다.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
보통 다음과 같이 되어 있는 것을
auto eth0
allow-hotplug eth0
iface eth0 inet dhcp
다음과 같이 고치라고 합니다.
auto eth0
allow-hotplug eth0
#IP 고정하기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xxx.xxx <-- xxx는 주소...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xxx.xxx
여기서 iface eth0 inet dhcp에서 마지막 dhcp를 static으로 고치라고 하는데, 이게 Jessie부터 안되는건지
아무튼 안됩니다.
dhcp를 manual로 해야 합니다. 결론은...
auto eth0
allow-hotplug eth0
#IP 고정하기
#iface eth0 inet static
iface eth0 inet manual
address 192.168.xxx.xxx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xxx.xxx